peering ; 피어링
피어링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들간 트래픽 교환에 관한 합의이다. 자사의 백본망을 가지고 있는 대형 ISP들은 다른 대형 ISP들의 트래픽이 그들의 백본 상에서 교환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또한 소규모 ISP들과도 트래픽을 교환함으로써, 자신들의 트래픽이 지역 종단까지 미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다수의 개별 네트웍 소유자들이 함께 모여 인터넷을 만든 방식과도 같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네트웍 소유주와 네트웍 액세스 제공업체, ISP 들이 모여 서로가 따를 수 있는 조건들을 규정한 계약을 맺어야 한다. 쌍무적 피어링은 두 회사간에 맺는 것을 말하며, 다자간 피어링은 두 개 이상의 회사간에 맺는 계약을 말한다. 피어링을 하려면, 피어링 관계를 맺는 ISP 들간에 BGP를 이용하여 라우터 정보를 교환하고 갱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어링에 참여하는 회사들은 미국의 NAP이나, 각 지역의 스위칭 포인트들과 같은 지점에서 상호 연결된다. 초기에는 피어링을 하는데 비용이 수반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부 대형 ISP들이 피어링을 원하는 소규모 ISP들에 대해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각 주요 ISP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트래픽을 가진 네트웍들과 피어링 할때 적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건을 담고 있는 피어링 정책을 개발해 놓고 있다. 사설 피어링이란 대부분의 인터넷 트래픽이 통과하는 공공 백본 네트웍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대자들 간의 피어링을 말한다. 어떤 경우에는, 피어링 비용에 대규모 네트웍에 대한 트랜싯 비용 또는 실선 접속비용이 포함되는 수가 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피어링은 그 자체는 단지 상호 연결하여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의견: 유선망에 쓰이는 용어들이 이제 센서네트워크의 무선망에도 쓰인다. RPL문서-draft4-page 47에서 나와서 이렇게 남김
'Embedded system > Wireless Sensor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ke docs zigbex (0) | 2014.01.10 |
---|---|
nesC 코딩시 유용한 에디터 (0) | 201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