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글]NP-complete 문제에 대한 쉬운 정리 P, NP, NP-완전 알고리즘을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보았을 말이다. 용어의 정의자체도 난해하지만 그것에 대한 풀이 또한 쉽게 풀이해논 내용이 없어 한참을 읽어봐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 혹, 이해를 해도 시간이 지나면 그들간의 차이점을 생각해 내는 것이 쉽지 않았다. '복잡성 이론 (Complexity Theory)' 이라는 컴퓨터 공학의 한 분야는 엄청난 계산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다룬다. 이것은 말 그대로 컴퓨터가 계산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한 '복잡성' 자체를 연구하는 분야다. 이 분야의 연구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과 직접적인 상관은 없지만 어떤 문제가 쉽게 풀릴 수 잇는 문제고 어떤 문제가 쉽게 풀릴 수 없는 문제인지를 구별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들이 해결.. 더보기 소프트웨어로 AVR 메모리 초기화 하기 와치독 타이머를 사용하는 방법과 리셋 스위치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와치독 타이머를 사용하면 진정한 리셋이 이루어 지지만 다음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시작부로 간단하게 이동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void (*reset)(void) = 0x0000; 와 같이 함수 포인터를 이용해 점프할 위치를 정의하고 if(bit_is_set(PORTA, 0) ){ reset(); } 와 같이 하는 방법과 #asm("jmp 0x0000"); 을 이용해서 점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더보기 우분투 시리얼 포트 확인하기 e보드 설정 확인 [root@oscar root]# dmesg | grep tty 미니콤 설정확인 minicom -s 보통 /dev/ttyS0 115200 8N! 두가지 컨트롤 모드 no 장치가 접근허가를 거부하는 메시지가 나오면 chmod 777 /dev/ttyS0 cannot creat lockfile. sorry 면 chmod 777 /var/lock 노트북 사용자는 대부분 /dev/ttyUSB0 형태의 디바이스 파일이름으로 사용 글자가 깨지면 baudrate vmware 사용자라면 설정을 확인해야 한다 vm -> setting -> hardware 탭 -> 시리얼포트 추가 참고로 hybus사의 pxa255 보드에서 tftp를 위해 bootp를 설치하는데 tftp로 하이버스사에서 제공한 시디 말고 ..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3 다음